[플래너스의 EDU톡] 고교학점제 시대, 영어수업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2025-05-15
조회수 111


해마다 변하는 입시 제도에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을 겪으며, 고학년이 되면서 점점 더 조급 해지는 마음에 영어교육의 방향이 흔들리기도 한다. 입시 준비 만을 위한 영어 교육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입시제도가 바뀌면 교육시스템이 바뀌기 때문이다.

지난 20여년간 영어교육 현장에서 학생들과 함께하며, 교육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몸소 체감해왔다. 최근 우리 교육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바로 ‘고교학점제’다. 2025년부터 전국 일반고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면 실행 되고 있는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는 제도다.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이자 흥미로운 기회로, 교육의 판도를 바꿀 멋진 변화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변화의 물결 속에서 영어수업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먼저 고교 학점제에서 개설되는 영어 과목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통 과목은 영어, 일반 선택 과목은 기존 교육 방식인 영어의 기본기와 독해, 작문, 회화 능력 강화에 중점을 둔다. 진로선택 과목은 실용영어,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영미문학 읽기, 기초 영어 등 학생의 진로와 관심사에 맞춘 심화·응용 중심이다. 진로 선택과목의 경우, 고교 학점제에서는 상대 평가 방식으로 바뀌어 실질적인 내신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어학 실력 향상의 필요성이 높아진다. 

또한,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영역 분류에서 벗어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실생활 중심의 학습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 목표에 따라 다양한 영어 과목을 선택해 이수할 수 있으므로 고교학점제에서 영어 교육 방식은 어떤 방향으로 바뀌어야 할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자.


▲ 양찬영 플래너스어학원 해운대 원장.


◇ 평가 방식의 다양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영어 평가도 단순히 지필고사에 의존하기보다는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프레젠테이션, 토론 등 다양한 평가 방식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주제 토론을 하고 영어로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관심 있는 주제로 영어 에세이를 작성하는 활동은 학습의 깊이와 흥미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 AI 교육 환경에 맞춘 학습과 평가 및 글로벌 역량 강화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맞는 영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AI 시대에 영어는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글로벌 소통의 핵심 도구가 될 것이므로 온라인 자료, AI 기반 학습 도구 등 다양한 디지털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고교학점제 대비한 영어교육의 세부적인 전략은 무엇일까?


◇ 쓰기(Writing)와 말하기(Speaking) 실력 강화

고등 단계에서는 어휘력과 독해력 강화, 문법·구문 이해 및 해석 능력은 영어 학습과 평가의 기본이 된다. 또한 고교학점제에서는 영어 실용성 평가 방식이 크게 강조되면서 작문(에세이, 요약 등)과 말하기 능력의 비중이 커질 전망이므로, 일상적으로 영어로 생각하고 쓰는 연습과 단순 문장 작문을 넘어 500자 이상의 에세이 작성이 필요하다.


◇ 실용 영어 및 수행평가 대비

수행평가와 실용영어(말하기, 쓰기) 중심의 평가가 강화될 수 있으니,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과 선행 학습

고교학점제 영어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학생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 목표에 따라 다양한 영어 과목을 선택해 이수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한다. 

결론적으로, 고교학점제는 영어 교육의 혁신을 요구한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영어 수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글로벌 사회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어학원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생들의 미래를 여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도록 교육 현장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사 출처: https://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5/14/2025051480064.html?rel 

상호 : ㈜교원위즈  |  사업자등록번호 : 129-81-67558   |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2019-서울중구-1217 

대표 : 윤성훈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51-1, 4층 (관철동, 교원투어빌딩)

대표번호 : 1899-0354   고객센터 : 02-2125-0766

ⓒ 2023. KYOWONWIZ Corp. all rights reserved.